[Study - Front-end basic] HTML & Internet
HTML
퍼블릭 도메인 (Public Domain)
저작권이 없는 도메인
문장 중 줄바꿈
<p>
태그를 통해서 단락의 경계를 분명히 하면서 CSS를 통해서<p>
태그의 디자인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<br>
태그 보다<p>
태그가 더 좋은 선택이다.<p>
태그 : 문맥을 나눈다.
<br>
태그 : 단순히 줄바꿈을 한다.<title>
태그<title>
태그는 검색엔진이 웹페이지를 분석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태그이기 때문에<title>
태그를 쓰지 않으면 정말 큰 손해이다.영어가 아닌 문자로 웹페이지를 만들면 웹 브라우저의 인코딩 형식이 일치하지 않을 때 문자가 깨지는 경우가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.
Internet
Server & Client
인터넷이 동작하기 위해서는 서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최소 2대의 컴퓨터가 있어야 한다.
그리고 각각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하나는 웹 브라우저, 다른 하나는 웹 서버라는 이름을 붙인다.
웹 서버가 설치된 컴퓨터에는 info.cern.ch 라는 주소를 부여하고, 이 컴퓨터의 어떤 디렉토리에 index.html 이라는 파일을 저장한다.
이후에 웹 브라우저가 설치된 컴퓨터의 주소창에 http://info.cern.ch/index.html 을 친다.
웹 브라우저가 설치된 컴퓨터는 인터넷을 통해서 전기적인 신호를 info.cern.ch 라는 주소의 컴퓨터에게 보낸다.
그 전기적인 신호는 index.html 이라는 파일의 코드를 원한다.
info.cern.ch에 설치된 웹 서버라는 프로그램이 어떤 디렉토리에서 index.html이라는 파일을 찾고, 그 내용을 읽어서 전기적인 신호를 바꾼 후에 웹 브라우저가 설치된 컴퓨터에 신호를 보낸다.
웹 브라우저가 설치된 컴퓨터에는 index.html 파일의 내용인 코드가 도착한다.
웹 브라우저는 그 코드를 읽어서 웹페이지를 화면에 출력한다.
이 관계를 보면 웹 브라우저가 설치된 컴퓨터와 웹 서버가 설치된 컴퓨터가 서로 정보를 주고 받는다.
이 중 웹 브라우저가 깔린 컴퓨터는 정보를 요청하고, 웹 서버가 깔린 컴퓨터는 정보를 응답한다.
여기서 요청하는 컴퓨터를 클라이언트 컴퓨터, 응답하는 컴퓨터를 서버 컴퓨터라고 부른다.
Web Hosting
‘my’ 컴퓨터는 현재로서 컨텐츠를 서비스 할 수 없다.
‘github’의 pages 기능을 이용하여 파일들을 업로드하고, pages 기능을 활성화하면 ‘github’의 서버 컴퓨터에 웹 서버가 켜지고, 웹 서버의 주소를 알려준다.
이제 웹 서버의 주소를 ‘visitor’에게 알려주면 ‘my’ 컴퓨터가 아닌 ‘github’의 컴퓨터에 설치된 웹 서버에 접속하게 된다.
웹 서버를 직접 운영하는 것에 비해서 웹 호스팅을 이용하면 쉽다.
단점은 인터넷의 원리가 감춰져 있다는 것이다.